dbo (database owner)
MSSQL에서 테이블을 생성하면 dbo.테이블명 이런식으로 생성이 되곤한다.
먼저 데이터베이스에 테이블, 뷰, 저장프로시저와 같은 개체를 만들면 스키마(schema) 안에 만들어지는데,
스키마란 데이터베이스 개체에 대한 네임스페이스로 개체가 갖는 고유한 이름을 결정지어주는 것을 뜻한다.
따라서 데이터베이스의 모든 개체는 Server.Database.Schema.Object와 같은 형식의 고유한 이름을 갖게 된다.
이를 이용해 상위 또는 하위로 접근이 가능하며, 다른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해서 테이블 조회도 가능하다.
dbo = database owner
사용자 중에 테이블을 생성한 사용자가 테이블명 앞에 붙는다.
그 사용자 중에서 db 소유자인 사용자가 만든 테이블이다.
보통 sa로 로그인을 하는데, 그럼 그냥 dbo가 된다.
dbo.를 쓰지 않아도 인식하지만, 정확하게 명시해주면 데이터베이스가 검색하는 조건이 명확하기에
데이터베이스 성능 향상에 도움이 된다.
또한 보통 같은 서버에서 검색하기에 데이터베이스를 만질 때 서버명도 생략가능하다.
서버 접속 후 해당 서버의 테이블을 조회하는 명령어
select *
from [서버네임].[데이터베이스명].[스키마].[테이블명]
자신의 서버네임을 알아내는 명령어
select @@SERVERNAME
즉,
dbo.란 스키마임을 확인할 수 있다.
'MSSQL' 카테고리의 다른 글
[MSSQL] 저장 프로시저 (Stored Procedure) (0) | 2022.12.11 |
---|